[자기소개]
인천에서 태어나 자라고 있어요. 여전히 ...
대학시절 흑백사진동아리에 들어가며 제대로 사진을 배웠네요. 친구들과 출사 갔다가 사고로 죽는 바람에 사진은 접었더랬어요. 1996년 인천인권영화제를 통해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만났구요. 영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인권영화제를 통해 '다큐멘터리 영상제작'에 관심을 갖게 됐구요, 당시 '노선문'에서 푸른영상 김동원, 김태일, 오정훈 감독 등에게 다큐멘터리 제작을 배우며 함께 배웠던 이들과 인천영상집단을 만들어 활동을 했습니다. 직장을 그만두고 1998년 네오영화아카데미와 한겨레 영화아카데미에서 영상연출, 촬영, 제작을 공부하고 다시 인천에서 인권영화제 사무국 & 집행위원을 하며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1집회, 노동자 투쟁, 민중들의 투쟁을 중심으로 다큐멘터리 촬영, 편집, 제작을 했는데 영상 찍으면서 사진을 다시 찍기 시작, 2006년 이후 사진을 많이 찍다가 요즘엔 사진만 찍어요.
2005년부터 창영동-금창동 배다리 일대에서 '퍼포먼스 반지하'와 함께 인천공부방 청소년들과 함께 인문학 수업을 시작으로 2007년부터 '공공미술 프로젝트 - 아트 인 시티 - 우각로 프로젝트'에 참여 '다큐멘터리 제작'을 하면서 배다리 산업도로 및 재개발 반대투쟁을 하며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 문화-예술-교육 및 환경개선을 위한 공공미술 활동을 함께 했어요.
2010년부터 '지역공동체 문화예술 창작공방 - 다행하다'에서 '마을사진관 다행'으로 다른 영역 예술가 5명과 공동운영하다가 2015년부터 작업실이자 사진관으로, 골목갤러리 '한-점으로부터'를 운영하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에 지원해 선정되기도 했고, 2018-20년까지 3년간 '천개의 문화 오아시스' 프로젝트를 기획 운영했고, 2012년 지역 문화예술공간운영자들과 함께 만든 '우각로사람들'을 통해 마을사진신문 '우각로신보 -이후 배다리신보로 변경'을 3년간 편집 발간하여 지역사회에 마을 이야기를 사진과 함께 전했습니다.
인천_인권영화제에서 1996년부터 집행위원으로 10여 년 정도 활동했구요, 2003년 <퍼포먼스 반지하>가 찾아와 인권영화제를 함께 진행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공동체-문화예술활동’을 6년 정도 연대활동 및 프로젝트 작가 및 진행, 기획자로 참여하고, 그 속에서 제가 가진 문제의식과 고민들이 구체화 되고, 생활에서 풀어가게 되고, 정리되는 과정을 가졌습니다.
.
일상 속의 축제, 축제 같은 일상
2012년 피폐한 대한민국 대도시에서, 인간적인, 지속가능한 대안적인 삶, 마을 또는 동네의 가치 회복을 통한 인간적 범위에서의 소통과 나눔, 그리고 다양한 삶의 형태를 되살리고, 가치를 살려내서 경쟁과 소비를 대신하는 삶을 만들어가는 일상 속에서 인간다운 삶이 가능한 도시를 꿈꾸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과정의 일환으로 창영동 배다리에서 마을공동체 문화예술활동을 하면서 마을창작공방 <다행多行_하다> 공간에서 마을사진관을 운영하고 있어요.
인권영화제를 진행하면서 민중의 일상이 피폐함에 대한 안타까움이 다양한 활동으로 연계되었는데, 먹고 사는 것 이상으로 삶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문화라고 생각을 해요. 삶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더 필요한 게 서민인데 요즘 살기 너무 힘들잖아요. 그렇다보니 우리 가난한 민중들에게는 너무 많은 노동과 너무 적은 벌이로 고통스럽지요.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게 꼭 맘껏 소비하는 것은 아닐 텐데, 일상의 문화가 사라지니 돈을 쓰지 않으면 즐길 수 없는 예술이 되었잖아요. 적은 돈으로 또는 돈이 없어도 노동으로, 땀으로,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민중문화를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자본주의 소비사회에서 저자본 저소비 재활용을 기본으로 일상적인 삶을 기록하는 사진찍기를 하고 있어요. 무조건적인 재개발에 반대하고 다양한 시간을 담고 있는 공간의 풍요로움을 지켜야한다고 생각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의 사진은, 그래서 사라져가는 우리들이 삶을 기록하는 _ 역사는 기록하는 자의 것이라고 하더군요. _의미의 ‘다큐멘터리 사진찍기’를 하고 있어요. 일상의 삶을 고스란히 담아가는 과정입니다. 무엇이 남겨질지 무엇이 사라질지 모르지만 존중받지 못하고 살아온 분들에 대한 존경과 애정을 담아내며 살아가고 싶습니다.
‘도시 속에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사진신문-배다리신보(구, 우각로신보) 프로젝트>
<지역공동체 창작공방 다행多行+幸>에서 사진작업실을 운영하면서 그동안 찍은 사진과 찍고 있는 마을사진과 이야기를 담아 함께 나누어 보는 마을사진이야기_페이퍼<다행多行+幸하는 날>을 만들어 지인들과 나눠보다가 2011년 배다리 문화공간 사람들과 함께 우각로사람들을 구성하여 2012년부터 인천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3년까지 마을사진신문<우각로신보>를 2014년 <배다리신보(제목변경)>를 편집, 제작, 발행했습니다.
[활동연혁]
2003
<송림동 스케치><골목길 끝에 걸린 희망><중구 스케치><만석동 풍경>등 마을영화제와 함께하는 영상제작 / 제1회 자활대회상영 영상제작 /
2004
반전평화파병반대사진전 / 특수고용노동자투쟁 <나는 어머니다. 나는 노동자다>
2004~2005
인천공공미디어센터추진위활동
2005
실업계 청소년 영상다큐멘터리 ‘직업‘ 프로젝트 네트워커 /인천지역 공부방연합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강사/ 부개3동 주민자치센터 길주축제 영상제작 / 인천인권영화제 10주년 기념영상제작
2005~2006
독립영화 상영운동 - 인천독립영화상영네트워크 활동
2006
중증장애여성의 외출 <나도 가끔 바다에 가고싶다>제작 / <5.3 인천 민주화 투쟁 - 20년의 기록> 제작 / 인천지역 열사 희생자 추모영상 제작 / 서예퍼포먼스 <호수, 국화향을 담다> 제작 / 안동근열사추모영상 <마른 잎 다시 살아나>제작 / 열린영화제 <엄마와의 대화> 제작
2007
<1987. 노동자대투쟁 20년 인천 노동자 투쟁 기록 <우리도 인간답게 살고 싶다> 영상제작 / 1987년 인천민주화 투쟁 20년 영상 <6월 항쟁 20년 봄날 .. 인천> / 배다리산업도로반대시민투쟁기록<삶이 먼저, 사람이 먼저> / 공공미술 프로젝트 기억과 새로움의 풍경 다큐멘터리 작업 / <우각리 스페셜, 기억과 새로움의 풍경>, <우각리 사진전>
2008
진보신당 봄소풍 사진전 <명랑발랄 -새로운진보정치운동 사진전> / 마을사진전 <우리동네 풍경>/ 전국노점상 연합과 진보신당 사진동호회 연합 - 함께 만드는 세상 <아름다운 노점‘ 전>
2009
퍼포먼스 반지하 연대활동 / 지역생활에서 예술하기_동구편 기획 및 진행 / 지역공동체 창작공방 모델링 프로젝트<다행多行_하다> 공동기획 및 진행 / 퍼포먼스 반지하 프로젝트 기획전 <마을이 되어가는 사진>전 참여/ 마을사진잡지<마을이 있어 다행多이다> 제작 편집 / 인천 동구 <송현시장 변화의 기록>사진집 촬영, 편집, 제작, 기획 (동구청 지원) / 사진_단체전<진상 眞象>
2010
지역공동체 창작공방 다행多行_하다 공동대표/ 마을사진관 다행多行+幸 대표/ 펜타포스 프린지 페스티벌 부스 운영- 사진신문 발행 / 마을사진신문 <다多行>발행/ 인천 동구 <송현시장 변화의 기록>사진집 제작 완료(동구청 지원) / 단체전<사라지는 것들....>/ 개인전<강‘s 사진이야기>전
2011~ 현재까지
인터넷 신문 <인천in> 시민기자 1기 / 창영동 배다리 <다~살림 벼룩시장> 진행 및 사진기록 / 마을사진엽서<다행多行_하다> 제작 / 마을사진신문 발행자
2012~2014까지
창영동+배다리 마을사진신문<우각로신보>공동대표 및 편집자(인천문화재단 지원사업선정) / <창영동+배다리 다살림 벼룩시장> 진행 / 마을사진집 <배다리 사진 이야기 창영동 사는 이야기>
2013
2th 개인전 <강‘s 마을사진이야기>전_사진공간배다리 / 창영동 배다리 마을사진신문<우각로신보>공동대표 및 편집자(인천문화재단 지원사업선정) / 안산시청 시민기자단 배다리 특강 / 배다리 생태캠프 _ 배다리 밭캉스 주관 / 배다리 리사이클 빌리지 마을고문위원(스페이스 빔 주관) / 4회 인천환경영화제 - 진행 자원활동가 / 희망을 만드는 마을사람들 - 가좌마을지오그래픽 강사 / 아기 엄마들과 함께하는 사진강좌 / 인천시립박물관 특별전시<안녕하세요? 배다리>_배다리 마을사진전 ‘배다리 사는 이야기’ _<강‘s 마을에서 다행多行+幸_하다>展(한점갤러리) / 마을사진신문 우각로신보 전(띠갤러리)
2014
건강가정지원센터 - 한부모 사진 강좌 / 안산 능길초등학교 사진동아리 수업 / 창영초&서림초 지역사회 연계 교육복지대상자와 문화예술사업 - 창영초 교육복지사 / 가좌마을지오그래픽 2 강사-희망을 만드는 마을사람들 / 남구 마을만들기지원센타 - 마을리포터 대상 마을사진강좌 / 배다리마을축제 참여작가 / 배다리 밭캉스 진행자 / 강‘s 사진이야기_3nd <언제나 오늘, Present 선물 展>/ 창영동 배다리 마을사진신문 <배다리신보>편집 발행, 제작자 /
2015
8월 <도시생태캠핑 배다리_밭캉스>주관 / 10-12월 강‘s 사진이야기전 _<인천_도시, 영희의 고향이야기> (부평구청 굴포갤러리, 부평동중학교 동문 외벽, 갤러리카페 한점으로부터, 부개2동 주민자치센타 ) *전시도록 <인천_도시, 영희의 고향이야기> / 10-12월 <배다리Day 날마다달마다>공동진행
2016
3월 18일~31일 강‘s 사진이야기전 _ 소품전 <배다리_미리 봄> / 5월~10월 2016 문화다양성을 위한 무지개다리 사업 - <만국시장 별난마켓>공동진행 / 7월 개인전 <해바라기> / 8월 도시생태캠핑 배다리 밭캉스 주관 / 8-12월 2016 시민문화예술교육 시시콜콜 - <배다리Day : 날마다달마다> 공동진행
2017
4-6월 옹진군 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마을공동체 교육 강사 / 5-10월 2017 문화다양성을 위한 무지개다리 사업 - <만국시장 별난마켓>공동진행
/ 5-12월 2017 지역문화예술교육 ? 지역특성화프로그램 <배다리, 마을로가는교실>공동진행
2018
4-12월 쇠뿔마을 희망지 지원단체 대표 / 4-12월 2018 천개의 문화오아시스 ‘마을에서 다행하는 날’ 기획 및 운영 / 5월 경인여대 인문도시사업단 ? 부평 인문도시 발굴단 ‘벽돌막’과 부평사람들 특강 / 8 -9월 송도 해돋이 도서관 ? 길 위의 인문학 사진강좌
2019
4-12월 천개의 문화오아시스 다행&한점으로부터 기획 및 운영 / 2019 남부교육지원청 <민주적공동체 성장프로그램 ? 마을관찰 프로젝트 > / 우리마을 지도만들기 ‘마을기록 탐험대 ? 나도 사진작가’ 주강사 / 서구도서관과 지역이 함께 만드는 '마을교육공동체 지원사업'- 나도 작가 <나만의 책 만들기> 사진교육
2020년
4-12월 천개의 문화오아시스 다행&한점으로부터 기획 및 운영 /
[소속단체]
없슴